October 12, 2025
모노레포란? 모노레포(Monorepo)는 여러 프로젝트를 하나의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개발 전략이다. 현재 내가 일하고 있는 토스에서도 다양한 글과 발표를 했을 정도로,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운영해야할 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채택하고 있다. 그러면 멀티 레포 방식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노레포를 선택하는 것일까? 멀티 레포의 문제점 공통 로직을…
October 09, 2025
2025 9월 회고에서 이야기했던 배포할 때마다 발생하던 에러를 디버깅하면서 알게 된 Next.js 빌드 결과물의 구조와 올바른 배포 전략을 정리해보려 한다. 문제 상황 배포 시점마다 가 센트리에 급증하고, 잠시 후 다시 사라지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었다. 빈도가 높지 않아 우선순위를 뒤로 미뤘지만, 특정 시점에 트래픽이 급감한다는 노드 개발자분의 제보로 …
October 02, 2025
9월은 드디어 조금 무난한 한달이었던 것 같다. 매달 새로운(?) 토스 생활이지만 그래도 조금은 안정화되어 가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드디어 새로운 동료 분이 오셨다. 돌아보니 굉장히 다양한 작업을 한 것 같지만 그래도 적응해가는지 무난했던 한달간의 생활을 돌아보자. TDS V2 업데이트 TDS는 토스 개발자라면 매일 마주하는 제품으로 을 의미한다. T…
September 08, 2025
8월은 예비군으로 한주가 날라가버려서 7월과 비슷하게 굉장히 빠르게 흘러갔던 것 같다. 이와 더불어 1학기에 대한 얼라인먼트 시즌이 돌아와, 토스에서 다양한 문제를 푸는 여러 팀들의 레슨런을 들을 수 있었다.이번에는 특별하게 인컴에서 자체적으로 미니 얼라를 진행했고, 프론트엔드 챕터 대표로 발표를 진행하기도 했다. 숨은 환급액 찾기 리팩토링 프로젝트를 마…
August 24, 2025
7월 회고를 굉장히 늦게 작성하게 되었다... 팀원분들과 함께 해외 워크샵을 다녀오면서 다양한 경험을 하기도 했고, AI를 어떻게 쓰면 좋을지, 주말에 이것 저것 사용해보는 등 기존과 다른 고민들을 하다보니 7월에 대한 정리가 늦었다. 한달간의 고민과 작업들을 돌아보고 이미 다가버린 8월, 다가올 9월은 어떻게 보내볼지도 적어보려한다. 시작된 숨은 환급액…
July 12, 2025
6월은 5월을 지나고 조금은 팀적으로 제품적으로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엄청나게 뛰었던 여파였을까 건강은 괜찮지만, 회사에 앉아서 일을 하려해도 멍한 기분이 지속되었다. 한편 업무적으로는 5월을 겪으면서 내년 5월에 똑같은 어려움을 겪지 않기 위해 어떻게 하면 좋을까하는 고민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점이 필요하다 이야기하…
June 03, 2025
드디어 가장 바쁜 25년 정기신고 기간 이 끝나게 되었다. 정말 감정적으로 체력적으로 다양한 오르내림이 있었던 한달로 글을 작성하는 6월 3일 아침 마무리되었다. 다이나믹했던 5월에 정리해보자. 😂 길고 길었던 5월의 작업들 5월의 작업량을 보면 가히 평월의 2배~3배로 진행되었던 것 같다. 작업양은 깃헙 잔디만 봐도 느껴질 수 있었는데 4월 말부터 5월의…
May 19, 2025
4월 회고를 5월 중순에야 작성하기 시작하게 되었다. 소문으로만 듣던 인컴의 5월이 오면서 정말 많은 작업들을 하고 실시간으로 대응하다 드디어 시간이 조금 나 작성해보려 한다. 정신없이 흘러간 4월을 다시 꺼내 정리해보며 남은 5월 동안의 액션 아이템도 챙겨가보려 한다. 드디어 오픈한 오픈소스 react-simplikit 작년 12월부터 참여한 오픈소스 …
March 30, 2025
2025년 3월도 빠르게 흘러갔다. 우리 팀의 큰 대목인 5월이 다가오면서 갈수록 더 분주하게 준비해나가는 것 같다. 세금 시장에 대한 다양한 실험 작업과 기술적고민과 커리어에 대한 고민 등을 했던 3월에 대해 기록해보려 한다. 세금이란 도메인에 대해 더 알고 싶어 처음 에 합류하고 현재 5개월 가량이 되었다. 5개월 간의 시간동안 라는 하나의 서비스에 …
March 16, 2025
HMR은 개발과정에서 full reload 없이 파일 변경에 따른 모듈의 변화, 추가, 삭제를 감지하고 즉시 반영해 개발 속도를 높이는 기능이다. 보통은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React에서는 React-refresh 패키지를 이용해 제공하고 있고, Next에서는 Fast Refresh로 제공하고 있다. 최근 Next로 서비스를 개발…